09:00 ~ 09:30 (′30) |
환영사 |
· 동아일보 |
축사 1 |
·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1 |
축사 2 |
· 국회 산업통장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2 |
09:30 ~ 10:00 (′30) |
기조강연 다시 돌아온 트럼프 시대, 한국 에너지 산업의 도전과 기회
[핵심내용] 트럼프 2.0 시대의 미국은 화석연료의 부활을 통한 에너지의 완전한 국내 조달을 목표로 함 이는 세계에너지산업에서 미국의 퇴조와 공격적, 고립적 에너지 외교정책을 의미함 |
· 고려대 국제대학원 김흥종 특임교수(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) |
10:00 ~ 10:30 (′30) |
주제강연 트럼프 에너지 패권 시대, 국내 기업의 위협과 기회
[핵심내용] 단기적으로 미국 내 해상풍력 및 그린수소 사업은 영향이 있겠으나 미국 내 태양광 비즈니스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
|
· PwC컨설팅 유원석 전무(파트너) |
10:30 ~ 10:50 (′20) |
정책발표 대한민국 2025년 에너지 정책방향과 전략
[핵심내용]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요구와 전력 수요가 중대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무탄소 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AI를 활용한 에너지 시스템 효율성 향상, 원자력, 그리드 소부장 등 유망 분야 중심의 에너지산업의 수출 산업화를 추진해나가고자 함
|
· 산업통상자원부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|
10:50 ~ 11:50 (′60) |
사례발표 1 미국 천연가스 개발을 통한 LNG 사업 경쟁력 제고 사례
[핵심내용] 트럼프 행정부의 ‘Drill, Baby drill’은 북미 LNG 사업, 특히 SK와 같이 셰일가스 upstream 사업과 연계된 LNG 사업자에겐 큰 기회가 될 수 있음
|
· SK Innovation E&S 전종영 법인장 |
사례발표 2 미국 SMR 시장 진출 사례
[핵심내용] 미국 SMR 사업 성공을 위한 두산에너빌리티의 SMR Foundry 전략
|
· 두산에너빌리티 김종우 SMR영업/사업관리 상무 |
사례발표 3 한국전력의 미국 765kV 그리드 사업 진출
[핵심내용] 한국전력의 본원 사업인 그리드* 개발 및 운영 역량을 활용한 미국 765kV 그리드 사업 진출 *그리드(Grid):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초고압 송배전망,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포함한 핵심 전력 인프라
|
· 한국전력공사 전찬혁 해외사업개발단장 |